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에서 시작된 연중 최대 할인 행사였는데 요즘엔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쇼핑행사 기념일입니다.
미국 추수감사절 11월 4번째 목요일의 다음 날인 '금요일'에 열리는 행사였는데 요즘 우리나라만 봐도 너도나도 더 빨리 더 길게~ 행사를 진행하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지갑을 먼저 선점하려고 하죠!
그리고 왜 그런데 블랙프라이데이일까요?
유래설 중에 가장 유력한건 매출의 증대로 회계가 적자(빨간잉크)에서 흑자(검정잉크)로 전환된다는 의미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이렇게 높은 할인율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는 내년도 신상품 준비부터 재고를 현금으로 바꿔야하는 시즌이라서 재고털이라고도 다들 알고 계시죠!
맞습니다.

첫번째로는 재고정리
기존 재고정리를 해서 인기없는 제품과 오래된 재고를 창고에서 비우면서 공간도 확보되고 캐쉬도 마련하는 것이죠!

두번째로는 경쟁심화
다같이 할인을 하니 여기서 더 팔려면 더욱 더 높은 할인율 뿐이죠?
제품의 가치보다는 할인율이 포인트니까!

세번째로는 고객유치 및 브랜드 인지도 상승기대
어짜피 팔아야하고 처리해야 할 재고를 가지고 마케팅효과를 보는것이죠!
이때 아니면 이렇게 대놓고 팔기 애매합니다.
가격을 함부로 건들면 프라이싱에 문제가 되는데 이때는 그렇게 팔아도 되는 날이거든요
그리고 이렇게 저렴한 가격으로 팔면 기존 소비자와 신규 고객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무조건 블랙프라이데이에는 정가에 비해 싸나?
저는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트에만 가도 기존 제품 가격 올려서 묶어서 할인율 적용해서 파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가격 몇 번만 두드려보면 그 가격이 그 가격..
온라인 쇼핑몰도 마찬가지로 행사전에 가격을 올려놓고 나중에 할인율 적용해서 착시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22년도 경한신문 기사를 인용하자면 영국 텔레그래프에서 세계 온라인 쇼핑몰 6,000곳의 가격을 조사했는데 10월에 전체 품목 중 24%가량이 가격이 올랐다는 보도 내용이 있습니다.
가격이 싸다고 무조건 구매하지 마시구 꼭 필요한 상품을 자기가 생각하는 가격, 알고 있는 가격에 비해
좋은 가격이라고 판단되고 가치있는 소비라고 판단 되실때 구매하시면 호갱당하는 일은 어느정도 피하 실 수 있지 않을 가 싶습니다.
짧은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닌텐도 스위치2 예고 영상공개! 차세대 콘솔의 주요 변화는? (0) | 2025.01.17 |
---|---|
[윤석열 공약요약]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렬 공약 빠르게 훑기 (0) | 2022.03.10 |